|
|
|
|
 |
|
 |
|
2014년 7월 13일 공과 "북 이스라엘의 초대 왕 여로보암" |
 |
|
글쓴이 : 순복음평택…
날짜 : 14-10-12 18:54
조회 : 2672
|
|
구역공과(140713) 북 이스라엘의 초대 왕 여로보암.hwp (58.0K), Down : 0, 2014-10-12 18:54:30 |
|
◎ 읽을 말씀 : 왕상 12:25-33
◎ 관련 찬송 : 258장, 292장
◎ 외울 말씀 : “야훼께서 여로보암의 죄로 말미암아 이스라엘을 버리시리니 이는 그도 범죄하고 이스라엘로 범죄하게 하였음이니라 하니라”(왕상 14:16)
◎ 참고 말씀 : 왕상 14:1-20
◎ 목 표 :
1)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이 이루어짐은 ‘과거’가 아닌 ‘현재’ 우리의 순종 여부에 달려있음을 알자.
2) 하나님께서 받으시는 예배는 그 대상과 방법이 하나님의 뜻에 합당해야 함을 알자.
◎ 공부할 내용
하나님께서는 솔로몬의 죄악으로 인해 그의 왕국의 일부를 여로보암에게 주셨고, 여로보암은 북 이스라엘의 초대 왕이 되었습니다. 오늘은 성경이 이스라엘의 악한 왕을 평가할 때 ‘여로보암의 길로 행했다’라고 했던 여로보암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여로보암의 등장
여로보암은 솔로몬의 신하로서 요셉 지파 사람들, 즉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 노동자들을 감독했던 사람이었습니다(왕상 11:26-28). 여로보암은 불순종한 솔로몬을 징계하기 위한 하나님의 도구였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일전에 실로 사람 아히야를 보내셔서 여로보암에게 다음과 같이 예언하게 하셨습니다. “이스라엘의 하나님 야훼의 말씀이 내가 이 나라를 솔로몬의 손에서 찢어 빼앗아 열 지파를 네게 주고 오직 내 종 다윗을 위하고 이스라엘 모든 지파 중에서 택한 성읍 예루살렘을 위하여 한 지파를 솔로몬에게 주리니”(왕상 11:31-32).
하나님께서 여로보암에게 열 지파를 주신 이유는 그가 받을 만한 그릇이었기 때문이 아니라 솔로몬의 죄 때문이었습니다. 열왕기상 11장 33절은 “이는 그들이 나를 버리고 시돈 사람의 여신 아스다롯과 모압의 신 그모스와 암몬 자손의 신 밀곰을 경배하며 그의 아버지 다윗이 행함 같지 아니하여 내 길로 행하지 아니하며 나 보기에 정직한 일과 내 법도와 내 율례를 행하지 아니함이니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이는 달리 말하면 여로보암이 솔로몬의 길로 행하면 그의 왕국도 길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 줍니다. 여로보암의 왕국 또한 하나님께 대한 순종 여부에 따라 성패가 갈라지는 것입니다. 열왕기상 11장 38절은 “네가 만일 내가 명령한 모든 일에 순종하고 내 길로 행하며 내 눈에 합당한 일을 하며 내 종 다윗이 행함같이 내 율례와 명령을 지키면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내가 다윗을 위하여 세운 것같이 너를 위하여 견고한 집을 세우고 이스라엘을 네게 주리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여로보암에게는 다윗과 같이 견고한 왕조를 이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왕조는 무조건적인 약속이 아니라 다윗과 같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해야 하는 조건적인 약속이었습니다. 다윗의 후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들이 하나님께 받은 축복은 저절로 유지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들도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고 합당하게 행해야만 견고한 왕조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이와 같이 하나님의 약속은 ‘현재’가 중요합니다. 과거에 무엇을 어떻게 했는지에 따라 현재가 보장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약속은 ‘현재’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에 얼마나 순종하고 합당하게 행하느냐에 따라 보장이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금 누리는 축복에 대해서 자만할 수 없습니다. 또한 고통 가운데 있다 할지라도 지금 하나님께 회개하고 말씀에 바로 서면, 그 축복은 현재 우리의 것이 될 수 있습니다.
2. 여로보암의 통치
여로보암은 자신을 죽이려는 솔로몬이 죽자 애굽에서 이스라엘로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북쪽 이스라엘 열 지파의 인준에 실패한 르호보암을 대신하여 세겜에서 왕으로 추대되었습니다(왕상 12:20). 여로보암은 왕이 되자마자 여러 가지 정책들을 펴 나갔습니다.
첫째로, 여로보암은 벧엘과 단에 성소를 세웠습니다. 그리고 그곳에 금송아지를 만들어 사람들로 하여금 예배하도록 했습니다. 그는 북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을 예배하기 위해 예루살렘에 가게 되면, 그들의 마음이 르호보암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왕상 12:26-27).
둘째로, 여로보암은 레위 자손이 아닌 보통 백성으로 제사장을 삼았습니다(왕상 12:31). 율법에는 레위 자손만이 제사장이 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민 18:1-7). 영적인 지도자격인 이들이 미치는 영향력이 두려운 나머지 여로보암은 이들을 해임했습니다.
셋째로, 여로보암은 절기를 자기 마음대로 바꾸었습니다. “여덟째 달 곧 그 달 열다섯째 날로 절기를 정하여 유다의 절기와 비슷하게 하고 제단에 올라가되 벧엘에서 그와 같이 행하여 그가 만든 송아지에게 제사를 드렸으며 그가 지은 산당의 제사장을 벧엘에서 세웠더라”(왕상 12:32). 이 절기는 이스라엘의 3대 절기 중 하나인 ‘초막절’을 말합니다. 초막절은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가서 지키는 절기로, 일주일 간 계속된 정기적인 행사였습니다(신 16:13-15). 여로보암은 절기를 바꿈으로써 예루살렘의 정치적, 종교적 영향력에 대응하려고 했던 것입니다.
이와 같이 여로보암은 자신의 정권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 인간적인 수단과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3. 하나님의 경고를 받은 여로보암
하나님께서는 여로보암에게 하나님의 사람을 보내어 그의 죄로 인하여 받을 심판을 선포하셨습니다. 유다에서 온 하나님의 사람은 벧엘의 제단을 향하여 “다윗의 집에 요시야라 이름하는 아들을 낳으리니 그가 네 위에 분향하는 산당 제사장을 네 위에서 제물로 바칠 것이요 또 사람의 뼈를 네 위에서 사르리라”(왕상 13:2)고 예언하였습니다. 그는 여로보암의 제사가 거짓된 것이며 장차 하나님의 심판을 받을 것임을 예언한 것입니다. 그러나 여로보암은 회개하지 않고 오히려 제단에서 손을 펴 선지자를 잡으라고 명령하였습니다.
위의 사실에서 여로보암의 가장 큰 죄는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도 회개하지 않은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윗도 죄를 지었지만 다윗은 나단 선지자의 책망을 받자 즉시로 회개했습니다. 회개한 다윗에게 하나님께서는 다시 축복해 주셨습니다.
4. 여로보암의 종말
여로보암은 자신의 아들이 병이 들자 아내를 변장시켜 아히야를 찾아가도록 했습니다. 자신의 죄 때문에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아들이 죽을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변장한 것을 꿰뚫어 본 아히야는 하나님의 심판의 말씀을 여로보암의 아내에게 전했습니다. 여로보암의 집에 재앙이 임하고, 그에게 속한 모든 자가 죽게 될 것이며, 그의 아들까지도 죽게 될 것임을 선언했습니다(왕상 14:1-13). 더 나아가 이스라엘까지도 하나님께 버림을 받는 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왕상 14:16).
이처럼 지도자의 죄는 많은 사람에게 악영향을 미쳐 많은 사람을 파탄에 이르게 합니다. 그래서 디모데전서 2장 1절부터 2절은 “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되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 단정함으로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 함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결국 성경은 여로보암을 악을 행한 대표적인 왕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후대에 우상 숭배와 악을 행하는 사람에게 “여로보암의 길로 행했다”라고 할 정도로 여로보암은 악의 대명사가 된 것입니다. “내가 너를 티끌에서 들어 내 백성 이스라엘 위에 주권자가 되게 하였거늘 네가 여로보암의 길로 행하며 내 백성 이스라엘에게 범죄하게 하여 그들의 죄로 나를 노엽게 하였은즉”(왕상 16:2).
하나님께서는 좋으신 분이지만, 하나님의 법을 어기는 자는 심판하는 분이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사랑의 하나님이심과 동시에 공의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살면서 죄를 범하거나 실수할 때마다 철저히 회개하고 주님께 돌아가야 합니다. 징계를 받을 때 여로보암과 같이 가볍게 넘기지 말고 자신을 철저히 돌아봐야 합니다. 그러면 하나님께서는 용서하시고 다시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 가운데 거하게 해 주실 것입니다.
◎ 성경 연구
1.여로보암은 왕위에 오르자 이스라엘 백성들이 르호보암에게 돌아가는 것을 막고자 금송아지 상을 만들고 성소를 세웠습니다. 그가 성소를 세운 장소는 어디입니까(왕상 12:26-29)?
2.여로보암은 여러 가지 악행을 저질렀지만 하나님 보시기에 가장 큰 죄는 무엇입니까(공부할 내용 참조 왕상 13:33)?
◎ 나눔과 적용
1.하나님의 약속은 ‘현재’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에 얼마나 순종하고 합당하게 행하느냐에 따라 보장이 됩니다. ‘지금’ 당신이 하나님의 말씀에서 떠나 있는 부분이 없는지 살펴보도록 합시다.
2. 지도자 한 사람의 영향력은 공동체의 운명을 좌우합니다. 그러므로 지도자가 바르게 사람들을 이끌 수 있도록 기도합시다.
|
|
|
|
|
|